2020. 3. 8. 23:31ㆍ주식공부/기업공부
▶기업개요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업과 설치공사업, 수질 및 환경과 관련된 '젠트로 사업부'와 화장품 제조 및 판매를 위한 '화장품 사업부'를 영위하고 있음.
2015년 12월 신규사업 확대를 위해 화장품 사업을 사업 목적으로 추가함.
현재 10~20대 대상 색조 화장품 라인인 `16브랜드(16brand)`와 뷰티&라이프스타일 콜라보레이션을 추구하는 생활용품 전문브랜드 `원더바스(Wonderbath)`를 보유하고 있음.
▶ 종목분석 리포트 (하나금융투자)
광군제를 위한 준비는 다 끝났다. 하반기 매출액 최소 400억원 이상! (180919)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8,200원 유지
CSA코스믹에 대해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8,200원을 유지한다. 목표주가 유지 근거는 ①중국 및 일본 오프라인 매 장입점이 하반기부터 가속화 되는 점, ②중국 광군제(11월11 일)를 대비해 ‘아이매거진(아이 섀도우)’ 라인업 확대가 나타날 전망이며(4월 말 기준, 4호까지 출시/ 10월 5호를 기점으로 연 말까지 추가 라인업 3 ~ 5개 확대 예상), ③해외 신규 수주로 월별 호실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중국 광군제가 기다려지는 이유
CSA코스믹의 16브랜드는 올해 처음 광군제를 맞이하는 브 랜드이다. CSA코스믹은 광군제를 대비해 CS(Chain Store) 매장(3분기 기준 970개 매장) 및 왓슨스 오프라인 매장向 신 규 제품 및 중국 주요 온라인몰 대상으로도 ‘아이매거진’ 및 ‘모찌팩트’ 추가라인업이 판매될 전망이다. 신규 ‘아이매거진 5호’는 10월 판매 예정이며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출시될 전 망이다. 광군제 효과를 반영한 하반기 매출액은 최소 400억 원을 상회할 전망이며 2018년 화장품 매출액 760억원은 무 난히 달성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OPM 16% 추정). 또한 중국 외 기타지역의 판매도 실적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다. 일본 Tokyu Hands 외 기타 오프라인 매장 330개에 입점됐 으며(하반기 600개 입점) 기타 지역으로의 수출 가능성도 높 은 상황이다. 3분기 화장품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24 억원(YoY, +522.2%), 32억원(흑자전환)으로 가파른 실적 상 승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2018년 실적은 보수적 숫자
2018년 매출액 967억원(YoY, +217.0%), 영업이익 119억원 (흑자전환)을 전망한다. 현 주가수준은 2018년 기준 P/E 17 배로 브랜드 화장품 업종 대비 현저한 저평가 국면으로 사료 된다(국내 브랜드 화장품 업체 평균 P/E 30배).
비수기인데도 화장품에서만 24억 벌었습니다. (180816)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8,200원 유지
CSA코스믹에 대해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8,200원을 유지한다. 목표주가 유지 근거는 ①중국 및 일본 오프라인 매 장입점이 하반기부터 가속화 되는 점, ②중국 광군제(11월11 일)를 대비해 ’아이매거진(아이 섀도우)’ 라인업 확대가 나타날 전망이며(4월 말 기준, 4호까지 출시/ 9월 5호를 기점으로 연 말까지 추가 라인업 3 ~ 5개 확대 예상), ③해외 신규 수주로 월별 호실적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2분기 실적은 준비운동, 3분기부터 확실한 서프라이즈 예상
CSA코스믹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98억원(YoY, +120.2%), 영업이익 16억원(흑자전환)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 화장품 부문 매출액은 155억원(YoY, +474.1%), 영업이익 24억원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추정치 대비 영업이익 4억원 증가 요인은 고수익성 중국向 직수출(온라인) 비중이 높아졌기 때 문이다. 2분기 화장품 부문 채널별 매출 비중은 중국向 직수 출(온라인) 57.7%, 면세점 14.1%, 홈쇼핑 12.9%, 국내 온/ 오프라인 및 기타 15.3%이다. 주력 제품인 ‘아이매거진’의 고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고무적인 점은 ‘슈퍼베지톡스’ 및 ‘모찌팩트’ 등 기타 제품군의 판매량 증가가 동시에 나타 난 점이다(제품별 매출 비중: ‘아이매거진’ 48.5%, ‘슈퍼베지 톡스’ 24.5%, ‘모찌팩트’ 7.3%). 면세점 구입 물량 제한은 4 월 10개에서 5월 2~3개로 대폭 감소시켜 전사 매출 감소가 나타났지만, 6월 중순부터 구입한도를 늘려 6월, 7월 화장품 부문 매출액은 70억원을 상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반기는 일본 Tokyu Hands 외 기타 오프라인 매장 입점으로(하반기 600개 입점 계획) 확실한 실적 상향이 예상되는 바이다. 3분 기 화장품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24억원(YoY, +522.2%), 32억원(흑자전환)으로 가파른 실적 상승세를 유 지할 전망이다.
PER 13.7배, 진심으로 너무 과도한 저평가 구간입니다
2018년 매출액 967억원 (YoY, +217.0%), 영업이익 119억 원 (흑자전환)을 전망한다. 현 주가수준은 2018년 기준 P/E 13.7배로 브랜드 화장품 업종 대비 현저한 저평가 국면으로 사료된다(국내 브랜드 화장품 업체 평균 P/E 30배).
월별로 올라가는 화장품 매출, 120억 원 영업이익을 향해 순항 중 (180515)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8,200원 유지
CSA코스믹에 대해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8,200원을 유지 한다. CSA코스믹은 면세점 채널 확대(5월 두산면세 두타점, 롯데 면세 제주점, 제주관광공사 면세점 등), 월별 아이매거진 신규 제 품 출시(4월 말 기준, 4호까지 출시/ 10호까지 출시 예상), 해외 신규 수주로 월별 호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하나금융투자에서 추정한 2018년 영업이익 120억원은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숫자로 판단하며 현 주가수준은 2018년 기준 P/E 16.6배로 브랜드 화장 품 업종 대비 현저한 저평가 국면으로 사료된다(국내 브랜드 화장 품 업체 평균 P/E 30배).
1Q<2Q<3Q<4Q로 가파른 실적 개선을 기대한다
CSA코스믹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53억원(YoY, +146.8%), 영업이 익 6억원(흑자전환)으로 호실적을 시현했다. 화장품 부문은 매출액 110억원(YoY, +587.5%), 영업이익 8억원을 기록하며 전사 실적을 견인하였다. 세부적인 매출 비중은 중국向 직수출(온라인) 26.9%(29억원), 면세점 20.2%(22억원), 국내유통 52.9%(59억원) 이다. 1분기에는 ‘아이매거진’ 1호부터 4호까지 연이은 출시로 상품 개발 및 관련 마케팅 비용이 일부 발생하였다. 추가적인 매출 증가 는 CAPA 문제로 제한적이었지만 3월 30만개에서 4월 60만개 → 5월 90만개로 주요 OEM사의 CAPA 증설 효과로 큰 폭의 매출액 증가가 예상되는 바이다. 2분기는 면세 채널 추가 확대 효과 및 신 제품 출시, 중국向 ‘아이매거진’ 생산을 통해 실적 상승 추세를 이어 갈 전망이다. 신제품은 클렌저 제품으로 성공한 ‘슈퍼 베지톡스(클렌 저)’ 마스크팩 및 ‘아이매거진 글로벌(가칭)’이 이끌 전망이다. 중국向 전용 ‘아이매거진’은 기존 스케줄보다 앞당겨져 늦어도 6월초부터는 중국 현지 생산이 진행될 전망이다. 화장품 부문 매출액은 173억원 (YoY, +540.7%), 영업이익 25억원(흑자전환)을 예상한다.
PER 16.6배, 브랜드 화장품 업종 대비 현저한 저평가
2018년 매출액 967억원 (YoY, +206.0%), 영업이익 119억원 (흑자전환)을 전망한다. ‘아이매거진’ 파급 효과로 월별 매출액 상승 추세는 가파른 상황이며, 4월 매출액도 50억원을 상회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8년 화장품 부문 매출액 761억원 달성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주식공부 > 기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상선 (011200) (0) | 2020.03.21 |
---|---|
오리온 (271560) (0) | 2020.03.17 |
펄어비스 (263750) (0) | 2020.03.13 |
지니뮤직 (043610) (0) | 2020.03.12 |
레이언스 (228850)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