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13. 23:19ㆍ주식공부/기업공부
20년 하반기에 주목
4Q19 Preview
4Q19 실적 기대치 하회 예상: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23억원(-1.6%QoQ,
+33.1%YoY), 319억원(-19.3%QoQ, +66.6%YoY)로 컨센서스(매출액 1,414억원, 영업이익 415억원)
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적 부진은 검은 사막M의 매출 감소에 기인한다. 국내 경쟁작 출시
영향 및 일본 매출 하향세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출시에도 불구하고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글로벌 출시 마케팅 비용 반영 등의 영향으로 4분기 수익성은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Comment
하반기 신작 모멘텀 가시화 예상: 작년 11월 G스타에서 공개된 동사 신작 프로젝트들의 윤곽은
6월 E3에서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예상보다 기대 신작 출시가 늦어진다는 점은 아쉽지만
향후 올해 신작이 출시되고 안착한다면 동사는 검은 사막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면서 더 높은 밸
류에이션을 적용받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상반기는 CCP게임즈
의 신작 MMORPG 이브 에코스와 중국 판호 발급 가능 여부가 동사의 주요 관전 포인트이다.
Action
목표주가 하향: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23만원으로 기존대비 8% 하향한다. 주요
기대 신작 출시 일정을 20년 4분기 이후로 이연 반영하면서 20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36% 낮췄다.
하지만 이브 IP의 확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하반기부터 신작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될 것으로 보이고
중국 판호 발급 여부도 기대 요인이라고 판단되어 목표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ER 20배 수준을
적용하였다.
2020년 투자포인트 재정립
4Q19 QoQ 부진, 예상치 미달 전망. BDM 한국/일본 부진 & 광고비 급증
4Q19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1,286억원(qoq -4%), 영업이익 297억원(qoq -25%)으로 서 전분기 대비 부진하며 당사 및 시장 컨센서스 전망치에도 미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구 체적으로는 주력 라인업인 검은사막 모바일 한국 및 일본의 부진으로 매출은 전분기 대비 감소하나 G스타 참가, 검은사막 모바일 글로벌 론칭 등에 따른 마케팅비 급증으로 영업비 용은 전분기 대비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검은사막 모바일의 경우 일본은 전분기에 이어 4Q19에도 감소세가 이어졌으며 한국은 특 히 리니지2 M 론칭 영향 등으로 감소폭이 컸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검은사막 콘솔 매출 증가 및 12/11 론칭한 검은사막 글로벌 매출 신규 기여 등보다 주력인 검은사막 모 바일 한국/일본 매출 감소가 더 컸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로 검은사막 콘솔은 X-Box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PS4는 가격 할인 이벤트에 따른 패키지 매출 호조, 일본을 중심으로 한 In Game 매출 호조, 70억원 정도의 전분기 이연 매출 등으로 전분기 대비 대폭 증가하며 전체적으로는 전분기 대비 대폭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TP 22만원으로 10% 하향. Buy 유지, 다만 투자포인트 재정립
검은사막 모바일 한국/일본 전망치 하향에 따른 실적 전망치 하향으로 목표주가는 245,000원에서 220,000원으로 10% 하향하나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한다. 다만, 몇 가 지 투자포인트를 재정립하며 Long Term Buy 관점으로 전환한다.
1) 12/11 론칭한 검은사막 모바일 글로벌은 초기 히트수준이 예상에 부합하는 소박급 히 트 수준인데다 검은사막 한국/일본의 부진으로 모멘텀이 희석/소멸되었다고 판단한다.
2) 1H20 론칭 예정인 Shadow Arena 글로벌은 Top 기대신작급은 아니나 다소의 신작모 멘텀은 가능할 수도 있다고 판단한다. 2Q20 - 3Q20(여름시즌) 론칭 예정인 이브 에코스 글로벌은 기대신작급으로서(당사에선 론칭 첫 분기 일평균 매출 10억원 정도 추정) 의미 있는 수준의 신작모멘텀을 기대할 만하다고 판단한다.
3) 플랜 8 글로벌, 도깨비 글로벌, 붉은사막 글로벌 등 신규 Project 3개는 기대신작들인 데 모두 올해 론칭은 아니라(플랜 8는 CBT도 올해는 아님. 나머지 둘은 올해 CBT. 6월 초 E3 참가 시 CBT 일정 공개 가능성) 올해 이들 신작의 신작모멘텀을 기대하긴 어렵다.
4) 요약: 검은사막 모바일 한국/일본이 부진한 상황에서 핵심 신작모멘텀도 멀리 있어 기 본적으로는 Long Term Buy 관점으로 전환한다. 단기적으로는 4Q19 실적발표 이후부턴 실적 노이즈에선 자유로워질 것이며 중기적으로는 Shadow Arena 글로벌, 이브 에코스 글로벌 등이 다소의 신작모멘텀을 창출할 소지는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6월초 E3 참 가 시점을 기점으로 신규 Project 3개에 대한 기대감이 강화될 소지도 있다고 판단한다. 올해 중 검은사막 PC/콘솔/모바일의 X-Cloud 플랫폼을 통한 클라우드 게임 시범 서비스 도 간헐적으로 긍정적인 이슈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판단한다. 본격적인 투자모멘텀은 신 규 Project 신작 3개의 신작모멘텀이 작동하는 2021년부터일 것으로 판단하나, 혹시라도 올해 중 검은사막 PC 및 모바일, 이브 에코스 등이 중국시장에서 판호를 획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면 얘기는 달라질 수도 있다고 판단한다.
출처 : DB금융투자, 이베스트증권
'주식공부 > 기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상선 (011200) (0) | 2020.03.21 |
---|---|
오리온 (271560) (0) | 2020.03.17 |
지니뮤직 (043610) (0) | 2020.03.12 |
CSA 코스믹 (083660) (0) | 2020.03.08 |
레이언스 (228850) (0) | 2020.03.08 |